맨위로가기

라 체네렌톨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 체네렌톨라는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한 2막의 오페라이다. 1817년 1월 로마에서 초연되었으며, 신데렐라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야코포 페레티가 대본을 썼으며, 초연 당시에는 초기에는 냉담한 반응을 얻었으나, 곧 이탈리아와 해외에서 인기를 얻었다. 19세기 동안 세비야의 이발사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인기를 누렸으며, 20세기에는 부활 공연과 음반 발매를 통해 로시니 오페라 부흥을 이끌었다. 현재는 표준 레퍼토리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마 조코소 - 하루만의 임금님
    《하루만의 임금님》은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하고 살바토레 캄마라노가 대본을 쓴 2막의 희극 오페라로, 폴란드 왕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 이야기를 배경으로 왕을 사칭한 프랑스 장교 벨피오레의 활약과 두 쌍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 드라마 조코소 - 돈 조반니
    《돈 조반니》는 모차르트가 작곡하고 다 폰테가 대본을 쓴 2막 오페라로, 방탕한 귀족 돈 조반니의 여성 편력과 몰락을 그린 드라마 조코소 장르의 작품이며, 특권층 남성의 방탕함과 응징이라는 주제로 철학, 문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 빌헬름 텔 (오페라)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한 오페라 빌헬름 텔은 14세기 스위스를 배경으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압제에 저항하는 빌헬름 텔의 전설을 그린 작품이며, 긴 상연 시간과 높은 음역대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랜드 오페라의 대표작이자 서곡이 독립적으로 자주 연주되는 작품이다.
  •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 세비야의 이발사
    조아키노 로시니가 작곡하고 피에르 보마르셰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세비야의 이발사》는 재치 있는 이발사 피가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2막의 희극 오페라로, 초연 당시에는 실패했으나 현재는 오페라 레퍼토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라 체네렌톨라
기본 정보
라 체네렌톨라 대본 표지, 1817년
1817년 대본 표지
장르드람마 조코소
작곡가조아키노 로시니
대본 작가자코포 페레티
언어이탈리아어
원작샤를 페로의 상드리용
초연일1817년 1월 25일
초연 장소로마, 테아트로 발레
다른 이름라 체네렌톨라, 오시아 라 본타 인 트리온포 (La Cenerentola, ossia La bontà in trionfo)

2. 역사

조아키노 로시니가 25세 때 작곡한 작품으로, 세비야의 이발사 다음 해에 작곡되었다.[1] 불과 3주 만에 완성되었지만, 로시니의 가장 뛰어난 아리아와 중창을 포함하고 있다.[1] 빠른 템포의 노래와 소동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부파(희극)이지만, 체네렌톨라와 왕자의 진지한 아리아처럼 희극을 넘어선 면도 있어 "오페라 세미 세리아"로 분류되기도 한다.

초연 당시에는 평판이 좋지 않았지만,[1] 곧 이탈리아 안팎에서 인기를 얻었고, 1820년 런던, 1826년 뉴욕에서 상연되었다. 19세기 동안 세비야의 이발사와 인기를 다투었지만, 콜로라투라 콘트랄토 가수가 드물어지면서 점차 상연되지 않게 되었다.

2. 1. 작곡 배경

대본 작가 야코포 페레티의 설명에 따르면, 1816년 12월, 조아키노 로시니는 로마에서 성 스테파노 축일에 테아트로 발레에서 상연될 새로운 오페라를 작곡하라는 임무를 받았다. 기존 대본 ''프란체스카 디 푸아''는 교황 검열관에게 거부되어, 대체할 작품을 찾아야 했다.

페레티는 세비야의 이발사 대본을 거절당했던 일로 로시니에게 악감정을 품고 있었지만, 작곡가와 흥행주 카르토니를 만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러나 새 작품 주제들은 너무 진지하거나 가볍거나, 상연하기에 너무 비싸고 어렵다는 이유로 번번이 거부되었다. 페레티는 24개 이상의 주제를 제안했지만 실패했다.

결국, 하품을 하며 소파에서 반쯤 잠든 로시니에게 페레티가 신데렐라를 언급했다. 로시니는 페레티에게 대본을 쓸 용기가 있느냐고 물었고, 페레티는 로시니에게 음악을 만들라고 맞받아쳤다. 로시니는 당장 작업할 구절이 있냐고 물었고, 페레티는 "피곤하지만, 내일 아침에요!"라고 답했다.

페레티는 밤새 작업해 약속대로 아침에 작품의 첫 부분을 준비했다. 그는 22일 만에 대본을 완성했고, 로시니는 24일 만에 악보를 완성했다. 페레티는 오페라의 성공을 의심했지만, 로시니는 1년 안에 이탈리아를 정복하고, 프랑스와 영국으로 퍼져나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라 체네렌톨라''는 1817년 1월 25일에 초연되었고, 초기에는 냉담한 반응을 얻었지만, 곧 이탈리아와 해외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로시니의 예측대로, 19세기 내내 ''세비야의 이발사''를 능가하는 인기를 누렸다.

로시니가 25세 때 작곡한 작품으로, 세비야의 이발사 다음 해에 쓰였다.[1] 불과 3주 만에 작곡되었지만, 로시니의 가장 뛰어난 아리아와 중창을 포함하고 있다.[1]

2. 2. 초연 및 반응

La Cenerentolait는 초연 당시 약간의 적대감을 받았다.[1] 그러나 곧 이탈리아 전역과 그 너머에서 인기를 얻었다. 1819년 리스본[2], 1820년 런던, 1826년 뉴욕에서 상연되었다. 19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그 인기는 세비야의 이발사와 경쟁했지만, 주역을 위해 원래 쓰여진 콜로라투라 알토가 희귀해지면서 레퍼토리에서 서서히 멀어졌다.

2. 3. 19세기 이후

19세기 동안, 라 체네렌톨라는 세비야의 이발사와 인기를 다투었지만, 주역을 위해 원래 쓰여진 콜로라투라 알토가 희귀해지면서 레퍼토리에서 서서히 멀어졌다.[1]

글린데본 페스티벌에서 비토리오 구이의 지휘로 1952년에 부활하여 EMI에서 LP 레코드로 녹음된 이후, 로시니의 작품은 부흥기를 맞이했고, 새로운 세대의 로시니 메조소프라노들이 ''라 체네렌톨라''가 다시 전 세계에서 공연되도록 했다.[3] 이 오페라는 현재 표준 레퍼토리의 필수 요소로 간주된다.[3] 1970년대 이후 로시니 르네상스에 의해 체칠리아 바르톨리 등 로시니를 잘하는 신세대 메조 소프라노 가수가 등장하면서 이 작품의 인기는 다시 불붙었다. 현재는 녹음 및 상연 횟수가 많은 오페라 작품이 되었다.

3. 등장인물

지휘: 조아키노 로시니안젤리나 (체네렌톨라, 신데렐라)알토 또는 메조소프라노젤트루데 리게티돈 라미로, 살레르노 공작테너자코모 굴리에르미단디니, 공작의 시종바리톤주세페 데 베니돈 마니피코, 몬테피아스코네 남작이자 체네렌톨라의 의붓아버지베이스안드레아 베르니알리도로, 철학자이자 공작의 전 가정교사베이스제노비오 비타렐리클로린다, 돈 마니피코의 큰딸소프라노카테리나 로시티스베, 돈 마니피코의 작은딸메조소프라노테레사 마리아니라미로 공작 궁정의 신하들테너, 베이스


4. 줄거리

이 오페라는 원작 동화와는 달리 마법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현실적인 설정으로 각색되었다. 계모 대신 계부 돈 마니피코가 등장하며, 요정 대모는 왕자의 스승인 철학자 알리도로로 대체되었다. 신데렐라를 식별하는 도구는 유리 구두 대신 팔찌로 바뀌었다.[4] '변장' 모티프가 이야기의 중심축을 이룬다.

이야기의 배경은 18세기 후반 – 19세기 초 이탈리아 살레르노 근교이다.[4] 돈 마니피코의 제멋대로인 두 딸 클로린다와 티스베는 매우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이다. 라미로 왕자와 그의 집사 단디니는 서로 변장하여 진정한 신부를 찾는다. 두 자매는 "집사"(로 변장한 라미로)의 청혼을 거절하지만, 체네렌톨라는 "왕자"(로 변장한 단디니)에게 자신은 그의 "집사"(왕자)를 사랑한다고 말한다.[4]

1845년, 제목 역할의 로지나 피코


체네렌톨라는 계부와 의붓자매들에게 "체네렌톨라"(재투성이)라고 불리며 하녀 노릇을 강요받는다. 그녀는 "옛날에 한 왕이 살았는데..."("Una volta c'era un rè")를 부르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 어느 날, 거지(로 변장한 알리도로)가 나타나자 의붓자매들은 그를 내쫓으려 하지만, 체네렌톨라는 그에게 빵과 커피를 준다. 이후 시종들이 나타나 라미로 왕자가 신붓감을 찾기 위해 방문할 것이라고 알린다.[4]

4. 1. 1막

돈 마니피코의 저택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낡은 옷을 입은 안젤리나(체네렌톨라)는 의붓아버지와 두 언니 클로린다와 티스베에게 구박받으며 하녀처럼 지낸다. 안젤리나는 "옛날 옛적에 임금님이"(Una volta c'era un Re)라는 노래를 부른다.[1] 거지로 변장한 알리도로가 저택에 나타나자, 두 언니는 그를 쫓아내려 하지만, 체네렌톨라는 빵과 커피를 준다.[1] 그때 라미로 왕자의 사자들이 나타나 왕자가 신부를 찾고 있으며, 딸들을 궁전에 초대한다고 알린다.[1]

계부 돈 마니피코가 나타나 소란에 화를 내며, 당나귀 꿈 노래를 부른다.[1] 모두 퇴장한 뒤, 시종으로 변장한 라미로 왕자가 나타나 체네렌톨라와 만난다. 둘은 서로에게 끌리고, 이중창을 부른다.[1]

왕자로 변장한 단디니가 하인들을 거느리고 등장한다. 그는 돈 마니피코와 두 언니에게 인사하고 궁전으로 초대한다.[1] 체네렌톨라는 자신도 데려가 달라고 부탁한다.[1] 이때 정장을 한 알리도로가 나타나 이 집에 딸이 셋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돈 마니피코는 체네렌톨라는 하녀이며 셋째 딸은 이미 죽었다고 거짓말한다.[1] 알리도로는 남겨진 체네렌톨라를 궁전으로 데려가겠다고 약속한다.[1]

장면은 궁전으로 바뀐다. 돈 마니피코는 술 창고 관리인으로 임명되어 의기양양해하며 와인에 관한 포고를 노래한다.[1] 왕자와 단디니가 등장하고, 단디니는 왕자에게 두 자매가 허영덩어리라고 말한다.[1] 클로린다와 티스베가 나타나 왕자(단디니)에게 빨리 선택하라고 조르지만, 단디니는 어느 한 쪽은 시종(왕자)에게 시집보내겠다고 하자 화를 낸다.[1]

새로운 손님의 도착이 알려지고, 화려하게 차려입은 체네렌톨라가 나타나 모두가 놀란다. 로시니 크레센도를 사용한 화려한 육중창으로 막이 끝난다.[1]

4. 2. 2막

마니피코는 자신의 딸 중 하나가 왕자와 결혼하여 왕비의 아버지가 될 꿈에 부풀어 우스꽝스러운 노래를 부른다.[4] 체네렌톨라는 "왕자"(로 변장한 단디니)에게 자신은 그의 "집사"(로 변장한 왕자)를 사랑한다고 고백하고, 그 증표로 팔찌를 건네주고 떠난다.[4]

왕자(로 변장한 라미로)는 체네렌톨라를 찾기 위해 마차를 준비시키고, 사랑의 노래를 부른다.[4] 한편, 마니피코는 단디니에게 자신의 딸 중 한 명과 결혼할 것을 강요하지만, 단디니는 자신이 왕자가 아니라 시종이라는 사실을 밝힌다.(2중창: "중요한 비밀").[4]

장면은 다시 돈 마니피코의 저택으로 돌아온다. 체네렌톨라는 "왕과 순수한 딸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4] 밖에는 폭풍이 치고, 알리도로의 계략으로 라미로의 마차가 마니피코의 저택 앞에서 망가진다.[4] 왕자와 단디니는 비를 피하러 저택 안으로 들어오고, 왕자는 체네렌톨라의 손에서 팔찌를 발견한다.[4] 모두가 놀라는 가운데 6중창("당신이십니까?")이 불린다.[4] 왕자는 체네렌톨라에게 당신이 나의 왕비라고 말하고, 궁전으로 데려간다.[4]

궁전에서 체네렌톨라는 의붓아버지와 언니들을 용서하고 옥좌에 앉는다.[4] 피날레에서 체네렌톨라는 자신의 불행했던 과거를 뒤로하고 새로운 삶을 맞이하는 기쁨을 노래하는 아리아 Nacqui all'affanno e al pianto (슬픔과 눈물 속에서 태어나)를 부르고, 막이 내려진다.[4]

5. 악기 편성

6. 유명한 아리아

참조

[1] 서적 The ''prima'' on 25 January 1817 was full of mishaps and was noisily received 1986
[2] 블로그 Blog da Rua Nove: ''La Cenerentola'', Cinderella, A Gata Borralheira (in Portuguese) https://blogdaruanov[...]
[3] 웹사이트 Opera Statistics for the 2008/09 to 2012/13 seasons show 137 performances. http://operabase.com[...] Operabase 2013-12-14
[4] 웹사이트 Stories of the Operas: La Cenerentola http://www.metoperaf[...] New York Metropolitan Opera
[5] 웹사이트 Recordings of ''La centerentola'' on operadis-opera-discography.org.uk http://www.operad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